top of page

색을 먹는 몸

박미란 | 학고재 큐레이터

2020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한 마을에 힘바 부족이 산다. 이들은 우리와 다른 색채의 세상을 본다. 색을 구분하는 언어의 범주가 다르기 때문이다. ‘바파'는 흰색과 밝은 노란색을 가리키는 단어다. 일출의 색이다. ‘주주'는 어두운 명도의 색을 크게 포괄한다. 땅거미가 내려앉은 자연의 색채다. 파란색과 초록색을 한 데 묶어 ‘부루’라고 부른다. 실제로 이들은 두 색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담부’는 미묘하게 다른 초록색 범주다. 우리가 볼 수 없는 초록의 명도 차를 한눈에 짚어내는 이유다. 타고난 지각 능력은 환경에 따라 발달하거나 퇴화한다. 사고방식에 따라 인지의 범위가 달라진다. 시야 너머로 이름 없는 빛들이 지나쳐 간다. 굳은 시각 탓에 많은 장면을 놓치고 있다. 강한별은 감각을 곤두세운다. 대상의 이름을 잊고 낯설게 본다. 

 

그림을 그리는 일은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 같다. 생경한 발음으로 심상을 전하는 말하기다. 강한별은 세상을 색으로 옮긴다. 문법은 단순하다. 눈으로 삼키고, 손으로 뱉어낸다. 화면이 색을 먹고 자란다. 〈색을 먹는 몸 2〉(2020)는 작업실 창밖에 핀 금잔화를 소재로 한 회화다. 특유의 향기가 뱀을 내몬다고 하여 뱀꽃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지혜의 상징인 뱀을 쫓는 금잔화처럼, 아는 것을 다 잊고 그리려 했다. 아이의 마음으로 관념을 떨쳐내고 풍경을 본다. 붓이 모양을 지우고 색채를 개어낸다. 뱀의 형상이 어렴풋하다. 직관적인 붓질이 사유를 뒤덮는다. 〈색을 먹는 몸 4〉(2020)의 밤 풍경 속, 금잔화가 꽃잎을 오므리고 뱀이 자취를 감춘다. 감성이 살아나는 시간이다. 어둠 속 꽃술이 별처럼 빛난다.

 

강한별은 화자보다는 청자다. 눈을 감고, 눈꺼풀을 투과하는 빛을 본다. 풍경이 피부에 스민다. 화면은 주장하거나 설득하지 않는다. 단지 놓인 자리의 색채에 물든다. 시선을 오래 머금은 장면일수록 추상에 가까워진다. 〈나이스바디〉(2014/20)는 세 개의 캔버스와 두 개의 통나무로 이룬 설치다. 자연이 빚은 통나무가 기하학을 닮았다. 프랑스 니스에 머문 경험을 소재로 한 작업이다. 이국에 깃든 몸을 떠올리며 중의적인 작품명을 지었다. 도형의 경계마다 색이 침투한다. 들풀처럼 자란 색을 연필 선이 보듬는다. 수용은 때로 밀어내기보다 어렵다. 생각의 근육을 이완해 융통성을 마련해야 한다. 부드러운 관절을 지녀야 유연하게 품을 수 있다. 

 

회화의 언어에는 문장이 없다. 약속된 어휘의 범주도 없다. 자유로운 형용과 수식이 화면을 메운다. 그리는 행위는 마치 감각을 통역하는 일 같다. 관념의 범위 바깥을 탐색하는 과정이다. 조금 더 많이 느끼고 넓게 담아야 참신해진다. 붓의 진동이 심상을 전한다. 목적 없는 그리기를 이어 가면 그리기 자체가 목적이 된다. 강한별의 화면이 자연을 먹는다. 

Horizon: Do You See What I See? (2011), BBC two, Available at: https://www.bbc.co.uk/programmes/b013c8tb

NICEBODY

 

故김미경 (미술사학 박사)

한국예술연구소KARI 소장

2014

가만히 누워서 세상을 바라본다. 개미만큼 낮은 자세로 누워서 보는 세상은 이제껏 보지 못했던 신기한 모양들로 가득차 있다. 잠시 눈을 감고 눈꺼플 사이로 스며 들어오는 빛을 느끼며 무한히 자유로운 풍경을 이루는 세계의 오브제들의 사이를 거닌다. 그것은 열린 공간에 펼쳐지는 추상 예술과 하나가 되는 새로운 산책이다. 필미코 벼룩시장에서 산 의자나 첼시대학 학생들이 버린 흔들의자는 공간을 누비는 추상 회화의 요소로 변신하고, 끝없이 차이를 동반하며 반복되는 도시 건물의 선들과 화합한다. ‘멋진 신체’(NICEBODY)에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담론들에 함몰되지 않는 자유로움이 있다.

예술가는 스스로를 창조자라고 착각하기 쉽다. 무언가를 만드는 주체가 자신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겸허한 인간은 자신이 창조된 존재임을 알며 창조된 세계를 재조합하고 경작한다.

I lie down still to behold the world.

 The view is as low as a formic vision of mirabile visu that the world offers.

 Through the eyes half-closed the light beams permeate; I travel through the world’s objects, forming scenery of infinite freedom.  It is a dewy promenade in which to become one with the transcendental abstract in an open space. Chairs purchased at a flea market or armchairs abandoned by students of Chelsea College, used as elements of abstract painting, crisscross the exhibition space, in a self-delineating harmony with urban lines: repetitions perpetually accompanied by subtle differences.

 The freedom of these works refuses to be dented by the Modernist and Postmodernist discourse of art.

 Artists often take pride in their “ex nihilo”, believing the subject of creation is always the Self. But a humble one remains attentive to his or her own creator, re-appropriating and cultivating what is already given.

 

Mi Kyung Kim

Ph.D Art and History

Director of Korean Art Research Institute KARI

2014

Static but Dynamic  

 

 Parc des Buttes Chaumont, has been created out of inspiration of the scene of the park Buttes Chaumont in Paris, France during Han Byul Kang’s two month stay in Paris.

 

Blue and pink color in geometrical form mixed on 4 canvases, titled ‘Lavender’, and orange and green colored on 4 ellipse canvases to represent ‘Tulip’.

 

These two structures become one work by re-arranging in a given space, forming an adaptive and reflective representation of space. The work makes different visual of surface, which expanded the domain of painting not only limited canvas material.

 

Although obviously appearing as a painting but canvases are not just a painting –rather an object itself. Kang’s current work seems to be a spatial or sculptural painting. The most recent work, St.George’s square garden 2013, presents sculptural canvas work that has architectural function in space. The work has occurred in different conditions of presence in exhibition. Using reflective arrangement, her ongoing methodology has dealt with space as visualized element of artwork, trying to discover a clue to ontological question about human existence, relating to humans and objects in space.

 

“Han Byul Kang’s pursuit of the ontological questions is visualized in the immature contours and freely laid colour patches of any given space, inviting the viewer to spot a certain point to complete the dialogue within.” – Ji Hye Hong, curator, Korean Cultural Centre UK.

 

When Kang was one of selected artist by 3 judges namely Nicholas Cullinan, Jonathan Watkins, and Nina Power for group exhibition NOW X HERE, her work Moon of October 2012 has presented works that respond to the space and time around the KCCUK.

 

Nina Power especially drawn to the practice and described her works as seeking “to overcome the division between surface, presentation and the gallery itself.”

 

Sophia Victoria

Executive Director

Debut Contemporary

2012

 

...Kang Han-Byul, meanwhile, discovers paintings within a space. Kang has experimented pictorial experiments in a space instead of drawing paintings on a canvas, but here does so by adding colors to discarded chairs and objects in the rich forest of Namiseom Island. In other words, by having a space with the painted objects, Kang puts the space in a single painting. A painting is transposed from “what is to be seen” into “what is to experience.” 

 

 

 

In the catalog 'A Garden of Million Layers',

Experiences and Artist of Million Layers, 

Kyoungrin Park

Curator

2014 

The pursuit of the ontological questions for an object and human being is visualised in the deliberately immature contours of any given space. The contours were developed into colour patches on the found objects or canvas and then freely laid on refracted spaces. The constellation of variables appears like they have been given the spontaneity to inhabit inside the space; they build up the space, penetrate the boundaries of its medium. This cleverly measured constellation invites the viewer to spot a certain point to complete the dialogue within. 

 

In the catalog ‘Now X Here’, the KCCUK’s 5th UK Korean Artists’ Exhibition, 2012

 

 A sensory mediation of a surrounding place is delivered into another place (as inner landscape) of its own.

 Colour is a point of reference and abstraction where the artist first engages with the place. A synthetic imagery is then developed into a constellation of deliberately immature contours and colour patches. The constellation of variables appears like they have given the spontaneity to inhabit inside the space; they build up the space, penetrate the boundaries of its medium. They are open to the playful arrangement of visual elements and the oscillation between two and three dimensionality. 

 

Ji Hye Hong

Curator KCC London

2013

 

 

 

 

 

bottom of page